Arran Gare(2021). Ecological Civilization: What is it and Why it Should be the Goal of Humanit

생태문명: 생태문명의 의미와 생태문명이 인류의 목표가 되어야 하는 이유

생태문명의 개념은 2013년에 제창된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와 결합 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은 ‘생태문명’을 환경문제 경감을 위한 정책에서 더 나아가 경 제적 세계화를 포용하고 자신의 경제 발전을 위해 세계 각국과 관계를 구축하고자 하 는 것으로 보일 수 있었다. 이는 미국이 19세기 이후 영국의 자리를 빼앗으며 지배적 인 패권국으로서 자국 영토 밖의 자원들에 대한 접근성을 얻었던 것과 같이 미국의 자리를 넘보며 자본주의 체제에서 세계 패권을 노리는 중국에게 있어 생태문명이라는 구호는 부차적인 것이 아닌지 의문을 자아낸다. 기후 불안정으로 인해 중국이 서유럽 이나 북미보다 더 큰 위협에 직면했다는 판 위에의 지적이 옳을 수도 있으나, 중국의 해결책은 지구 생태파괴로 인한 결과를 중국, 최소한 자국 내 부유한 엘리트 계층이 겪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확실시 한다. 이는 미국과 서유럽의 신식민주의를 모방하고 세계 경제와 대양들의 주변과 준주변부를 착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일대일로를 통한 중국의 아프리카 개입은 환경에 악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일부 사례 에서 다수의 국가들이 빚을 떠안으며 중국의 더 큰 통제를 받게 되었다(Lokanathan, 2020). 중국은 세계 어류 생산의 38%를 차지하며, 중국의 세계 어선들은 계속하여 전 세계의 어업을 파괴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Mantesso, 2020). 이들의 관행은 금세기 중반 내로 원양 어업의 완전한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Worm, 2016). 에일린 크리스트(Eileen Crist)(2019)는 세계 각국과의 계약을 동반하는 중국의 경제 성장과 이로 인한 환경파괴를 지구 생태계에 대한 중대한 위협들 중 하나로 본다. 매트 하슬로프 한센)Matte Halskov Hansen), 홍타 리우(Hongta Li), 룬 스바르베르트 (Rune Svarverud)(2018)는 생태문명의 개념은 판 위에의 제언과 같은 중국 전통문 명과 마르크스주의 사이의 관계를 주장하는 것을 넘어, 중국이 과거의 영광과 현재 세계에서의 지배적 지위를 되찾는 탐험에 기여하기 위하여 지구의 앞날에 대한 새로 운 사회적 상상을 만들어내는 원정이라고 주장한다.

이 모든 것과 중국, 그리고 다른 곳에서의 생태문명의 의미, 또 중국 밖에 있는 사 람들이 이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넓은 맥락에서 중국 생태문명의 주장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Translate »